본문 바로가기

운동관련 _ Sports Life :>

우리 몸에서 중요한, 근육의 초회복 메커니즘

728x90
SMALL

벽에 부딪쳤을 때에는 노력하고 그 벽을 극복한다.” 이런 대사는 일부 만화의 전개라고 생각이 들만 하지만 이 것은 근육의 메커니즘이며 초회복이라고 합니다.

 

 

근육의 비대는, 스포츠 선수 또는 근육의 비대를 원하고 요하는 일반인들에게 필요한 것입니다. 그러나 근육은 단순히 운동이나 몸을 움직이기 위한 것만은 아닙니다.

 

 

기본적인 몸의 동작을 할 때나 심장이나 소화기, 혈관을 움직이는 기능을 담당하는 등, 매우 중요한 조직입니다.

 

 

 


초회복이란,

 

운동 후 24~48시간 정도의 휴식을 취하면 우리의 몸에는 운동을 하기 전보다 에너지를 증가시켜 큰 회복력으로 이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근육은 주로 골격근, 심근, 평활근의 3가지로 분류됩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듣는 근육이란 골격근을 의미합니다. 골격근은 신체 전체에 약 400종류 이상 있다고 알려져, 인간의 체중의 약 4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골격근이라고도 불리는 근육은 근섬유라고 하는 1, 1개의 가는 실과 같은 형태를 한 단백질이 끈처럼 모여 마치 다발과 같은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격렬한 운동을 하면 이 끈을 만드는 단백질의 일부가 흩어져 혈액으로 흘러나옵니다. 쉽게 얘기하자면, “근육이 망가진다라고 하는 것입니다.

 

 

근육이 망가지는거라고 하면, 무서운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처럼 느낄 수도 있지만 괜찮습니다. 근육은 깨진 상태가 아닙니다. 근육이 망가진다는 의미는 인간의 몸에서 날마다 행해지고 있는 것입니다.

 

 

운동 등에 의해 근육을 사용하거나 순간적으로 격하게 움직이거나 하면 근육의 조직은 부서집니다. 하지만 인간의 몸에는 부서진 조직을 치료하려는 힘이 있습니다.

 

 

인간의 몸에서 부서진 조직을 치료하는 힘의 예로는 골절이 있습니다. 골절로 인해 한 번 부러진 뼈 부분은 원래 뼈보다 두껍고 강한 뼈로 다시 회복됩니다. 이것과 같은 효과가 근육에서도 행해지고 있습니다.

 

 

운동 후, 24~48시간 정도의 휴식을 취하는 것은 근육이 격렬한 운동에도 견딜 수 있도록 자력으로 회복하여 운동 이전의 몸보다 강해지고 튼튼해집니다.

 

 

 그 때, 근육의 재료가 되는 아미노산을 많이 받아들이게 되면, 근섬유가 보다 굵게 커집니다.

이러한 현상을 초회복이라고 합니다.

 


초회복시, 충분한 영양도 필요

 

 

 

초회복에 필요한 휴식 시간이 긴 것은 운동 후 아미노산이 근육에 도입되기까지 24~48시간 정도 걸리기 때문입니다.

 

 

초회복은 휴식에 더해 필요한 영양을 충분히 섭취함으로써 효과는 더욱 향상됩니다. 훈련 직후의 몸은 근육의 본질이 되는 단백질이 분해되기 쉬운 상태입니다.

 

 

단백질은 인간의 몸을 구성하는 성분의 제2(체내의 15~20%)가 될수록 중요한 영양소입니다. 훈련에 의해 단백질의 분해가 진행되어 버리면 근력도 저하되어 버립니다.

 

 

운동 직후에는 단백질을 섭취하고 단백질의 분해를 방지하는 게 좋습니다.

 

 


 

근육의 초회복 메커니즘을 활용한다면 더욱 더 실용적으로 근육을 비대하게 늘릴 수 있습니다! 

개인의 목표에 맞게 활용해보는건 어떨까요?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