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력 운동을 계속하고 있는데 좀처럼 효과가 나지 않는 경우에는, 주로 6개의 원인이 있습니다.
만약, 잘못된 방법으로 실행하고 있었다면, 생각했던 것처럼의 효과를 볼 수 없습니다.

1. 잘못된 방법의 근력 운동
올바른 지식이 없는 채 근력 운동을 아무리 열심히 해도 좀처럼 성과가 나오지 않습니다. 근력 운동의 자세는 의외로 어렵고, 자세·호흡·중심을 거는 방법 등이 잘못되어 있으면, 예상했던 효과를 볼 수 없습니다.
특히, 초보자의 사람은 횟수와 중량만 중요하게 생각해서 올바른 운동 방법을 무시한 채 실행하기 십상입니다.
근력 운동을 할 때는, 단련하고 싶은 부위의 근육이 제대로 사용하고 있는지, 몸의 감각을 의식하면서 자신의 자세가 어떤지를 생각하면서 실행해야 합니다.
2. 자신의 한계까지 닿아본 적이 없다.
근력 운동은 부하를 가볍게 주는 거만으로는 근육의 비대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힘들어도 "자신의 한계에서 한 번 더!"라고 하며 한계치를 넘는다면 근육에 부하가 걸려 근육이 발달합니다.
힘들다고 해서 한계치에 다 도달할때 쯤 그만두게 되면 근육의 비대에 효과를 볼 수 없습니다.

3. 중량・횟수가 적당하다.
일반적으로, 근력 운동은 1개의 종목을 3~5분 정도의 시간 간격을 두면서 3세트 행합니다. 1세트만 하고 다음 종류의 근력 운동으로 옮겨 가는 것은 잘못된 방법입니다. 근육 트레이닝은 부위별로 집중하여 수행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같은 무게로 근육 트레이닝을 계속하면 처음에는 근육이 붙지만, 몸이 무게에 익숙해져 버린 이후에는 그 이상 근육은 비대해지지 않습니다.
한 가지 종목씩 확실히 집중해서 기본적으로 3세트씩 진행하는 방법으로 시간을 두고 근육에 부하를 점점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중량을 조금씩 올리거나 횟수를 증가시킵니다.)
3. 오랜 시간의 유산소 운동
유산소 운동의 지나치게 많이 한다면 근육이 붙기 어려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유산소 운동은 지방 연소에 효과적이지만 동시에 근육을 분해하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근육을 키울 때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조깅이나 수영과 같은 상대적으로 힘든 유산소 운동은 다이어트에 적합합니다. 하지만 근육을 키우고 싶은 시기에 유산소 운동을 한다면, 걷기 등의 칼로리 소비가 적은 유산소 운동을 추천합니다.

4. 근력 운동의 빈도가 높음
근력 운동의 효과를 얻으려면 제대로 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근력 운동을 하는 초보자들은 대개 빨리 근육을 크게 하고 싶어 해서 쉬지 않고 매일 근육 트레이닝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하지만 근육은 제대로 휴식하지 않으면 성장할 수 없습니다. 근육의 성장은 몸이 휴식을 취할 때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매일 근육 트레이닝을 하고 싶다면 요일에 따라 부위를 바꾸면서 근육을 제대로 쉬게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함
근력 성장에, 수면은 빠뜨릴 수 없습니다. 충분한 수면을 취할 수 없는 날이 계속되면, 성장 호르몬의 분비가 방해되어, 근육의 성장에 방해가 됩니다. 근육의 성장을 노린다면 근육을 한 번씩 휴식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하면서 하루 7~8시간의 양질의 수면을 취하는 걸 추천합니다.

6. 식사 조절을 못함
근육 운동의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식사 조절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 아침에는 시간이 부족하다고 해서 아침 식사를 거르거나, 샐러드만 먹거나, 단백질만을 섭취하거나 하는 등 편향된 식생활을 하고 있는 사람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영양 균형이 잡힌 건강한 3끼를 잘 챙겨 먹어야 합니다
단기간에 결과를 추구하는 경우에는 근육이 비대해졌는지, 증가했는지의 여부는 단기간에는 알 수 없습니다.
효과를 실감할 수 있게 보려면 적어도 3개월의 기간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곧바로 실감할 수 없기 때문에, 특히 초보자는 좀처럼 초심과 동기를 유지하는 것은 어렵고, 도중에 좌절하거나 포기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기 위한 요령은, 운동을 생활의 일부로서 습관화할 수 있도록 가벼운 운동에서 무리하지 않고 시작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운동관련 _ Sports Life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몸에서 중요한, 근육의 초회복 메커니즘 (0) | 2023.09.27 |
---|---|
헬스장에서의 에티켓으로 헬린이 탈출하자 (8) | 2023.09.19 |
다양한 요가의 호흡법과 이점 (4) | 2023.09.14 |
공복 유산소, 하면 왜 좋은걸까? (0) | 2023.09.11 |
헬스장 다니면 단백질 보충제가 필수일까? (0) | 2023.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