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웃자이 호흡
- 나디 쇼다나(편비 호흡)
- 카팔라바티 호흡
- 완전 호흡
- 흉곽 호흡
- 싯깔리 호흡
- 브라마리 호흡
웃자이 호흡
목의 안쪽을 닫아 실시하는 흉곽 호흡법입니다. 숨을 내뱉을 때 마실 때도 목에 의식을 한 상태에서 호흡을 반복합니다. 아쉬탕가 요가나 하타 요가를 할 때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요가 시간은 물론 명상 전이나 집중력을 높이고 싶을 때에도 효과적입니다.
※산스크리트어로 웃자이란, 승리」 의미하고 있습니다.
나디쇼다나(편비 호흡)
왼쪽 콧구멍과 오른쪽 콧구멍을 번갈아 사용하여 호흡하는 호흡법입니다. 오른손으로 비슈누 무드라를 만들고 엄지손가락으로 오른쪽 코를 막고 왼쪽코로 숨을 들이쉬고, 왼쪽 코를 약지로 막고 엄지 손가락을 떼어 오른쪽 코로 내쉽니다.
숨을 내쉬고 오른쪽 코로 들이쉬고, 오른쪽 코를 막으며 왼쪽 코에서 내쉬는 게 1세트로 호흡을 반복해 갑니다..
왼쪽 코는 부교감 신경에, 오른쪽 코는 교환 신경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편비 호흡을 실시하는 것으로 자율 신경의 밸런스도 정돈하는 호흡법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카팔라바티 호흡
몸의 에너지 라인을 정화, 활성화시키는 호흡법입니다. 양쪽 코로 숨을 들이마시고, 배를 부풀리면서 숨을 들이쉬고 나서 양쪽 코로 단번에 강하게 숨을 내쉬고 배를 움푹 들어갑니다. 1초간에 1회의 속도로 푹푹 코로 토해내고, 20회 정도 가면 마지막은 단번에 숨을 내뱉습니다.
숨을 내쉴 때도 배를 강하게 힘을 주도록 의식해야 합니다. 횡격막과 복근을 움직이면 혈액 순환이 좋아집니다. 또한 내장을 마사지하고 활성화시키는 효과도 있습니다. 뇌에도 좋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잠들기 전이나 공복 시 등에 실시하는 걸 추천합니다.
※산스크리트어로 카팔라는 두개골, 바티는 정화를 의미하고 있습니다.
완전 호흡
배를 부풀리는 복식 호흡, 가슴을 부풀리는 흉곽 호흡, 쇄골이 오를 정도로 숨을 넣고 내쉴 때는 그 반대로 실시하는 호흡법입니다. 평소보다 깊게 숨을 들이마시면 산소를 포함한 혈액이 뇌로 넘어가기 때문에 뇌의 활성화로 이어집니다. 피로가 쌓이면 집중력이 부족할 때도 효과적인 호흡법입니다.
흉곽 호흡
호흡을 할 때 가슴 부분에 의식을 향해 폐를 넓혀 실시하는 호흡법입니다. 자세를 정돈하고, 숨을 들이마시면서 가슴을 넓히고, 폐를 크게 부풀리며, 숨을 뱉을 때는 가슴이 좁히면서 폐 전체가 줄어들고 원래의 상태로 돌아갑니다.
싯깔리 호흡
차가운 공기를 체내로 들이마시고, 따뜻한 공기를 체내로부터 배출해, 몸을 식히는 호흡법입니다. 입으로 들이쉬고 코로 숨을 내뱉는 호흡법입니다.
상반신을 릴랙스 시켜 숨을 전부 내뱉은 후, 혀 끝을 천장에 붙이고 윗니 아랫니를 붙인 상태에서 입술을 살짝 벌려줍니다. 이 사이로 ‘싯’ 소리가 나도록 입으로 숨을 들이쉽니다. 들이쉬고 입을 닫은 다음 코로 천천히 숨을 내쉽니다.
브라마리 호흡
꿀벌의 나는걸 흉내 내듯 코에서 소리를 내면서 하는 호흡법입니다. 자세를 정돈하고 눈을 감은 상태에서 상하의 치아를 조금 열고 입술을 닫습니다. 양귓구멍을, 양쪽 엄지로 각각 막습니다.
양 검지 손가락을 눈꺼풀에 올려놓고 중지 손가락을 콧구멍에 대고, 약지는 입술 위에, 새끼손가락을 입술 아래에 둡니다. 그 상태에서 허밍(허밍: 입을 다문 상태에서 음을 내어 코에서 소리가 나게 하는 방법) 소리를 내면서 양 코로 숨을 내뱉고, 숨을 다 뱉으면 숨을 깊게 빨아들입니다.
소리의 진동은 두개골에 울리는 것으로, 신경계통이 마음을 진정한다고 합니다. 머리의 피로와 스트레스, 불면증이 있는 분들에게도 추천합니다.
요가와 관련된 호흡법들은 이 외에도 다양한 호흡법이 있습니다. \명상을 하실 계획이시라면 명상 전 한번 실시해보는건 어떨까요?
'운동관련 _ Sports Life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헬스장에서의 에티켓으로 헬린이 탈출하자 (8) | 2023.09.19 |
---|---|
근력 운동을 하는데 왜 몸이 그대로일까? (2) | 2023.09.17 |
공복 유산소, 하면 왜 좋은걸까? (0) | 2023.09.11 |
헬스장 다니면 단백질 보충제가 필수일까? (0) | 2023.09.06 |
어깨 움직일때 뚜둑소리가 난다면 (0) | 2023.09.05 |